김보헌 前노동자신문·노동일보 기자
3.1 항쟁 100주년이 이제 석 달도 남지 않았다.
3.1 운동에 대해서는 교과서를 비롯해 지겹도록 들었다고들 생각하지만, 실제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예를 들면 3월 1일 하루만 만세 부르고 끝났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를 3.1 운동의 동인으로 첫손꼽는 경우도 본다. 또는 민족대표 33인의 대표성을 문제 삼거나 3.1 운동이 비폭력으로 진행된 것을 비판하기도 한다. ‘만세 부른다고 독립이 되느냐’는 사람도 있고, 8.15 해방은 독립투쟁이 아니라 일본 패전의 결과라고만 주장하는 경우도 많다.
오늘은 3.1 운동과 직결된 몇 가지만 생각해 보기로 한다. 이른바 민족자결주의나 러시아혁명, 신해혁명 등의 영향을 당연히 받았다. 그러나 1919년을 불과 20~30년 앞두고 펼쳐졌던 피로 얼룩진 반외세 반봉건 투쟁의 역사가 본류다.
민족대표 33인이 왜 전원 종교 지도자였는지도 여기서 설명된다. 일제강점 이전부터 치열한 투쟁을 이끌었던 정치, 군사 지도자들은 딱 세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내몰렸다. 죽거나, 망명하거나, 변절하거나. 여운형, 이상설, 이동휘, 박용만, 안창호, 최재형 등은 모두 해외에 있었다. 동학혁명을 직접 지휘했던 손병희를 포함한 천도교세력과, 그나마 선진문물을 접했고 외국인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일제탄압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개신교세력이 전면에 나선 이유다(민족대표 구성 - 천도교 15명, 개신교 16명, 불교 2명).
천도교가 3.1 운동의 자금마련과 항쟁준비(독립선언서 인쇄 등)를 전담했고, 3월 중순 이후 전국의 많은 기독교인들이 끝까지 저항하면서 큰 희생을 치렀던 것을 감안하면 그 중심에 섰던 민족대표 33인의 역할은 절대 폄하될 수 없다. 실제 이들 대부분이 징역과 고문 등 혹독한 탄압을 받았다.
3.1 운동의 배경에는 그 어떤 외생변수나 지도부의 상황보다 일제의 가혹한 수탈과 차별이 가장 큰 자리를 차지한다. 일본인들을 한반도에 직접 이주시키는 정책이 실패로 돌아가자 일제는 동양척식주식회사를 통해 매입했던 토지를 직접 경영하는 방식으로 전환했고 소작농으로 전락한 농민들은 고율의 소작료 등 착취에 시달렸다. 여기에 천정부지의 쌀값폭등이 겹치면서 3.1 운동의 사회적 조건을 형성했고 1919년 항쟁을 계기로 소작쟁의는 전국에 확산됐다.
비록 적은 숫자였지만 노동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착취와 탄압, 차별을 견디다 못한 저항이 곳곳에서 분출했다. 1916년 8건 362명, 1917년 8건 1,128명이었던 노동자 파업은 1918년 50건 4,443명으로 급증했다. 1919년에는 1월 12일 사리원역 파업, 1월 17일 인천부두 파업이 이어졌고 3월 1일 민중항쟁이 시작된 이후에는 서울에서만 용산인쇄소, 경성철도(전차), 동아연초공장 등에서 파업이 잇따랐고 22일 남대문 노동자대회도 열렸다. 이런 투쟁들이 3~4월 대항쟁의 확산과 이후 노동운동 성장에 기폭제가 되었음은 물론이다.
100년이 지난 지금 노동운동의 힘과 노동자의 지위는 그때와 비교할 수 없다. 100년 전의 항쟁이 남긴 과제들(진정한 민주공화국, 민족단결 및 평화, 행복한 사회 등)을 해결해 나가는 데 이제는 노동자들이 더 큰 역할을 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