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이스라엘 : 잔인한 민간인 학살의 역사

정환빈 『팔레스타인, 100년 분쟁의 원인 :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의 저자

등록일 2024년06월04일 15시10분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2023년 10월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촉발된 전쟁이 8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3만 5천 명이 넘는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고, 그중 2만 5천 명이 여성과 아동을 포함한 민간인이다.

 

2년 4개월 동안 치열하게 전쟁을 치르고 있는 우크라이나에서도 1만 명 남짓한 민간인만 사망했는데, 압도적인 군사적 우위에 있는 이스라엘이 민간인을 많이 죽인 까닭은 무엇일까? 하마스가 벌판에 나오지 않고 공습을 피해 민가에 숨는 게릴라 전법을 사용했기 때문이라는 변명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스라엘은 명백히 민간인을 학살하고 있다. 가자지구는 지금 죽은 자들 못지않게 산 자에게도 괴로운 지옥이다. 이스라엘의 방해로 구호품 지급이 차질을 빚어 하루에 한 끼도 먹지 못하는 주민들이 많다. 굶주림이 만연해지다 보니 이제는 구호물자가 도착하면 배급을 기다리지 못하고 주민들이 약탈에 나선다.

 

이스라엘이 안전지대로 공인한 라파에는 피란민들이 몰려 있지만 얼마 전부터 공격을 시작했다. 공습을 당해 죽어가는 산모의 배를 갈라 태어난 아기는 한 줄기 희망으로 보도되었지만, 며칠 만에 죽었다. 무차별 학살을 피해 95만 명이 또다시 피란길에 올랐다. 이스라엘은 어째서 민간인마저 이토록 괴롭히는 것일까?

 

시온주의의 목적

 

1880년대에 유럽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박해를 피해 팔레스타인에서 유대 민족 국가를 세우자는 사상이 싹텄다. 이를 시온주의라고 부른다. 시온주의는 오랫동안 유대인들로부터 소외당하다가 1917년에 영국이 지지하면서 점차 인기를 얻고, 홀로코스트 이후에 서구 기독교권에서 널리 지지를 받는다.

 

1880년대에 팔레스타인은 사람이 살지 않는 버려진 땅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실제로는 50만 아랍인들이 주로 농경 생활을 하고 있었고, 2만 명의 유대인이 이웃하며 평화롭게 살았다.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한 시온주의자들은 이를 보고 깜짝 놀랐다. 일부는 유대 국가의 꿈을 포기하고 유럽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일부는 땅을 사서 아랍인을 추방하기로 계획하고 식민촌을 세웠다.

 

시온주의자는 아랍인은 모두 유목민이라서 땅에 대한 애착이나 정치적 의식이 없고, 유대인이 이주해 가서 팔레스타인이 경제적으로 발전하면 만족할 것이라고 믿었다. 식민촌이 세워질 때마다 수백 명이 모여 살던 아랍 마을 여러 개가 사라졌다. 당연히 아랍인들은 저항했다.

 

이를 본 시온주의자들은 착각을 깨달았지만 뜻을 굽히지는 않았다. 그들에게 전 세계 1천만 유대인의 안전과 자유를 보장해 줄 유대 민족만의 국가가 수십만 토착민의 권리보다 중요했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는 폭탄 테러의 선구자

 

1차 대전이 끝나고 열강은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의 고향을 건설하기로 합의하고 국제연맹 이름으로 영국에 통치를 위임했다. 아랍인들이 독립을 호소하자 영국은 유대 국가를 세울 계획은 없으며 점진적으로 자치 정부를 허용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 이주가 급증해 몇 년 안으로 유대 인구가 다수가 될 것이 예상되자, 아랍인들은 1936~39년에 무장투쟁을 일으켰다.

 

시온주의자는 1937년부터 반격에 나섰고, 시장이나 버스 등 공공장소에서 폭탄을 터트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학살했다. 아랍인들이 성인 남성을 목표로 공격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반세기가 지난 1990년대에 하마스 등이 이를 모방했을 때 서구권이 경악하고 성토한 것과는 달리, 시온주의들의 테러는 너그럽게 용인됐다. 1946년에는 킹 데이비드 호텔의 별관을 폭파해 91명을 죽였고 팔레스타인 현대사를 통틀어 최악의 폭탄 테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이듬해 유엔총회는 유대 국가를 세우기로 했다.

 

수많은 난민을 낳은 인종청소

 

유대 국가의 건국이 승인되자 시온주의자는 인종청소에 나섰다. 유대 영토로 지정된 땅에 유대인과 비슷한 수의 아랍인들이 살고 있어서 ‘유대 민족’ 국가라는 정체성을 위협했기 때문이다.

 

1948년 4월까지 200개의 마을을 파괴하고 25만 명 이상이 피난길에 올랐다. 시온주의자들은 피난을 부추기려고 일부 마을에서 무차별 학살까지 저질렀다. 데이르 야신에서 200명 가까이 살해했고, 그중 30명은 아기였다. 현장을 조사한 영국 관료는 많은 여학생이 학살 전에 강간을 당했다고 보고했다.

 

1948년 5월에 이스라엘이 건국된 이후에도 인종청소는 계속됐다. 아랍 국가들이 구원군을 파견했으나 격퇴당했고 400~500개의 마을이 지도에서 사라졌다. 피난민도 급증했다.

 

유엔은 난민의 귀환을 인정하라고 요구했으나 이스라엘은 응하지 않았다. 오늘날까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난민과 자손들의 수는 5백만 명을 훌쩍 넘는다.

 

계속되는 민간인 학살

 

이스라엘은 국경 지대에서 팔레스타인인의 저항이 있거나 하면 인근 마을 주민 전체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곤 했다. 국제사회에서 비판이 제기되면 ‘안보’를 핑계 삼았다.

 

하지만 실상은 영토 확장을 위한 구실을 위해 갈등을 키운 것이었다. 예를 들어, 1955년에는 가자지구를 침공해 37명을 죽인 뒤 언론에 이스라엘을 침략한 아랍인을 죽였다고 거짓 선전했다. 당시 총리였던 모세 샤레트는 “우리가 고립되고 안보가 위험하다고 절박하게 외치고 있는 인상이 만들어질 것이다. 그러나 실상은 우리가 대량 학살을 저지르는 피에 굶주린 침략자다.”라고 했다.

 

이스라엘의 민간인 학살은 1982년 레바논 전쟁 때 절정을 맞는 듯했다. 이스라엘은 레바논에 거점을 둔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를 무력화시킨 후 레바논 기독교도 민병대를 투입해 민간인 3천 명을 학살했다.

 

20여 년 뒤 9.11 테러로 죽은 수와 같았다. 그런데도 서구권이 잠잠했고, 이스라엘은 민간인 학살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게 됐다. 1987년 서안과 가자지구의 주민들이 독립을 호소하며 민중봉기를 일으키자, 민간인 수천 명을 학살했다. 2008년 이후 이번 전쟁까지 다섯 차례나 반복된 가자지구 전쟁은 매번 민간인 피해가 도마 위에 올랐다.

 
▲ 2014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으로 사망한 어린이 260여 명의 이름을 기록한 추모비
 

민간인 학살의 이유

 

시온주의자는 여전히 영토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서안과 가자지구에 대한 집착이 대단하지만, 유대 민족 국가라는 정체성을 헤치는 팔레스타인인을 국민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반대한다. 유엔이 팔레스타인의 영토로 공인한 서안지구에도 250여 개의 유대인 식민촌을 불법적 건설했다.

 

네타냐후 총리를 비롯해 정계나 종교계 인사들은 가자지구를 직접 지배하거나 영향권 하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번 전쟁으로 북부 건물의 대부분이 파괴됐다. 주민들이 돌아와 살 집도, 일터도 없다. 재건 사업은 피해가 적은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될 것이고 피란민들이 북부로 돌아오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그 사이 이스라엘은 북부 지역을 장악할 것이다.

 

변수는 팔레스타인의 저항과 국제사회의 반발이다. 얼마 전 국제형사재판소(ICC)가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 등에게 체포영장을 청구했다. 서구권에 편파적인 것으로 자자한 ICC에서마저 이러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이스라엘에 상당한 위기감을 준다.

 

미국 대학가는 반이스라엘 시위로 몸살을 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반이스라엘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국제사회가 이스라엘의 민간인 학살을 멈추도록 제 역할을 할 때이다.

 
 
 
정환빈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인터뷰 이슈 산별 칼럼

토크쇼

포토뉴스

인터뷰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