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장애학은 어떤 학문인가?

등록일 2019년12월11일 15시09분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임욱영 한국노총 정책본부 국장

 


장애학의 도전(김도현 지음 / 오월의봄 펴냄 / 424쪽 / 2만2천원)

 

차별받기 때문에 장애인이 되는 사회

 

장애인운동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구활동가 김도현이 2009년 <장애학 함께 읽기>를 출간한 이후 10년 만에 단행본 <장애학의 도전>을 내놓았다. 책은 장애학이 어떤 학문이며 왜 필요한지를 다루며 “접속”, “성찰”, “전환”, “도전”의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특수교육과 사회복지에서는 국가·교사·복지사 등 주로 비장애인의 입장에서 장애인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를 이야기해왔다.

 

이에 반해 “장애학”이란 장애인의 관점에서 세상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내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고민해보는 것으로 사회적· 학제적·실천지향적인 해방적 학문이라고 소개한다. 200년 전에는 “장애인”이라는 범주가 존재하지도 않았다는 예를 들면서 장애인이란 비장애인 중심사회가 만들어낸 범주의 일종으로 “장애인이기 때문에 차별받는 것이 아니라 차별받기 때문에 장애인이 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나 상황에 따라서 “할 수 있음”과 “할 수 없음”으로 나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차별과 억압이 ‘손상’을 ‘장애’로 만들며, 바로 그 차별과 억압의 구조를 바꾸는 것만이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함께 읽고 함께 하기

 

저자는 우생학으로 시작해서 낸시 프레이저의 지구적 정의론을 장애학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장애인당사자주의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장애인 차별 철폐’ 외침이 계속되는 투쟁 속에서 장애인이 겪는 사회적 억압과 배제를 다루고 있다.

 

흔히 장애인운동은 68혁명 이후 등장한 “정체성(의) 정치”의 일환으로 설명되며, 북미에서 태동한 자립생활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되면서 “자립”을 그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장애인운동이 사회를 재구성해 나가는 운동이 되기 위해서는 정체성의 정치를 넘어 “횡단의 정치”로, 자립을 넘어 “연립”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홀로서기도 의존도 아닌 함께 어울려 사는 “연립”은 곧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도 연결된다. 책에 의하면 자기결정권은 능력과는 무관한 일종의 사회권이며 당사자들끼리의 의사소통과 존중, 조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저자는 이 책이 자신 혼자만의 고민이 아니라, 운동의 현장에서 나온 여러 화두들 속에서 탄생했음을 밝히며,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선의와 동정의 시선으로 단순히 함께 읽는 것을 넘어 더불어 잘 살기 위한 “장애학 함께 하기”를 위해 이 책을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새로 나왔거나 주목할 만하거나

 


 

법의 이유 (홍성수 지음 / 아르테 펴냄 /292쪽 / 1만7천원)

 


아이들의 계급투쟁(브래디 미카코 지음 / 사계절 펴냄/332쪽 / 1만7천원)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정여울 지음 / 김영사 펴냄/248쪽 / 1만3천8백원)

 


칼 폴라니-왼편의 삶(개러스 데일 지음 / 마농지 펴냄/560쪽 / 2만9천원)

 


회사가 괜찮으면 누가 퇴사해(천주희 지음 / 바틀비 펴냄/156쪽 / 1만1천원)

 

한국노총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 (http://inochong.egentouch.com)

한국노총 디지털도서관페이스북 페이지 (http://www.facebook.com/fktulib)

월간 한국노총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인터뷰 이슈 산별 칼럼

토크쇼

포토뉴스

인터뷰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