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기본조약 체결 60년을 맞아 양국 간 화해와 평화, 상호 이해를 위한 새로운 한일 시민 공동선언을 제안했다.
양대노총과 한일화해와평화플랫폼 등 시민사회단체가 5월 22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천도교 중앙대교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일기본조약 60년을 맞는 한일 시민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식민지배, 한국전쟁, 냉전 구조를 관통하는 1965년 한일기본조약의 한계를 인정하고, 무력과 협박으로 체결된 1905년 을사늑약과 1910년 한국병합조약이 국제법상 불법 무효임을 분명히 하며, 그로 인해 발생한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며 과거사 직시를 통한 새로운 한일 공동선언 마련을 주문했다.
참석자들은 강제동원과 위안부 문제 등 식민지배의 불법성을 지적하며 ▲정의에 기반을 둔 역사 화해를 기반한 시민 중심 평화 협력 ▲재일조선인 차별 금지, 조선학교 무상화 실현 ▲북일, 북미 관계 정상화를 통한 정전상태 해소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을 통한 평화체제 구축 등 4개 과제를 한일 양국 정부와 시민사회에 제안했다.
▲한일 시민 공동선언을 낭독하는 박한진 한국노총 사무처장
제안자로는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이태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황석영 작가 등이 이름을 올렸으며, 일본 시민사회에서도 함께 했다.
기자회견 직후부터 시민 서명을 받을 예정이며 다음 달 20일 일본 측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