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공무원연맹 2025년 3대 입법 과제 총력 추진

정년연장을 통한 공무원연금 소득공백 해소, 공무원 정치기본권 보장을 위한 법령 개정, 공무원보수위원회 법제화

등록일 2025년02월27일 00시23분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공무원연맹 등 한국노총 생투위 차원 대선 의제 제출

 

공무원노동조합연맹(위원장 김현진, 공무원연맹)은 2025년 3대 입법 과제를 ▲정년연장을 통한 공무원연금 소득공백 해소 ▲공무원 정치기본권 보장을 위한 법령 개정 ▲공무원보수위원회 법제화로 정하고 단위노조의 연대를 다짐했다.

 

공무원연금 관련 독일, 프랑스, 미국, 영국 등 대부분의 국가들은 퇴직 후 바로 연금 수령이 가능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60세 퇴직시 62세에 연금을 수령하도록 하고 있어 소득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공무원연맹은 정년연장을 통한 공무원연금 소득공백 해소를 위해 한국노총과 한국노총 산하 공공부문 노동조합과 연대하여 민간 부문과 함께 65세 정년연장을 추진하고 있다.

 


▲ 공무원 65세 정년연장을 통한 소득공백 해소를 다짐하며 피켓을 들고 있는 단위노조 위원들 사진(제공 : 공무원노동조합연맹)

 

공무원 정치기본권 보장과 관련해서는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정치적 후원과 정당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법령안을 정치권과 함께 발의 중이다. 또한 오는 3월 10일에는 박정현, 백승아, 이광희 국회의원과 함께 공무원·교원 정치기본권 보장 국회토론회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이 토론회에는 권오성 교수 등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공무원·교원의 정치기본권 보장의 필요성에 대한 발제를 듣고, 토론을 진행한다.


▲ 2025. 3. 10. 공무원 정치기본권 보장 국회토론회 개최 안내 피켓 사진(제공 : 공무원노동조합연맹)

 

공무원보수위원회 법제화를 위해서는 2025년 1월 9일 공무원보수위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하였으며, 한국노총 내 공무원연맹, 교사노조연맹, 우정노조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 전국공공노동조합연맹 등 공무원·공공 부문 6개 노동조합 단체가 결합한 생존권 투쟁위원회(생투위)를 발족하였다.

 


▲ 2025. 1. 9. 공무원보수위원회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 사진(제공 : 공무원노동조합연맹)

 

한국노총 생투위는 국회에서 발의된 공무원보수위원법 제정 추진에 맞춰 2025년 1월 8일부터 2월 7일까지 30일간 '공무원보수위법 제정을 위한 5만 입법청원 동의' 운동을 전개하여 단기간에 55,213명이 동의하는 등 성과를 이뤄낸 바 있다.

 

공무원연맹은 이상과 같은 3대 입법과제 해결을 올해 공직사회 최대 현안으로 인식하고, 향후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선국면에서도 각 정당에 대한 정책 의제로 제출하는 등 총력을 다해 나갈 예정이다.

정성혜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인터뷰 이슈 산별 칼럼

토크쇼

포토뉴스

인터뷰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