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본 투 비 블루(2015)

그 남자의 초상

등록일 2021년10월07일 08시43분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손시내 한국독립영화협회 비평분과

 

캐나다의 영화감독인 로버트 뷔드로의 <본 투 비 블루>(2015)는 20세기의 손꼽히는 재즈 트럼펫 연주자 쳇 베이커의 삶을 다룬다. 일종의 전기 영화로 부를 수 있겠으나, 쳇 베이커의 전 생애를 훑거나 위대한 업적을 조명하기보다, 그의 인생의 어느 특정한 시기에 집중하는 작품에 가깝다. 또 대략적인 사실들을 이야기의 뼈대로 활용하고 있지만, 허구적으로 창조된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러니, 이 영화를 통해서 전설적인 뮤지션의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역사적 사실을 알게 된다거나, 알려진 사실의 이면을 발견하게 되는 일은 기대하기 어렵다.

 

<본 투 비 블루>는 오히려 그 자신이 허구적 창작물임을 가감 없이 드러내며, 한껏 가볍고 나른한 태도로 쳇 베이커의 삶의 한 토막을 곁에서 함께 구경해보자고 말하는 영화다. 어둡고 무거운 삶의 딜레마를 던지거나 고뇌하는 예술가의 초상을 완성하는데 그다지 큰 관심이 없는 이 영화는, 차라리 일종의 가벼움과 나른함을 무기로 전기영화라는 난제를 헤쳐보고자 하는 것 같다.

 

우선 <본 투 비 블루>의 줄거리를 간단히 소개하면 이렇다. 영화는 1966년 이탈리아에서 마약 소지 혐의로 감옥살이를 하고 있는 쳇 베이커(에단 호크)의 추레한 모습에서 시작한다. 곧 그는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어느 감독의 권유로 자신의 전기 영화에 출연해 자기 자신을 연기하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상대 배우인 제인(카르멘 에조고)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마약 대금 등과 관련된 폭행 사건에 연루돼 얼굴에 심각한 상처를 입는다. 앞니가 모두 부러지고 입술에도 큰 상처를 입은 그는 영화 촬영은 물론이고 트럼펫 연주조차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후 오랜 연습을 통해 불가능해 보였던 트럼펫 연주를 자기만의 스타일로 다시 해내게 된다.

 

사진 출처 : 다음 영화
 

그렇게 여러 우여곡절을 겪고 다시 무대에 오르는, 이제 막 재기를 시작하는 그의 모습까지가 이 영화가 담아내는 쳇 베이커의 삶의 한 조각이다. 여기서 할리우드 영화 제작이나 제인이라는 여성의 존재는 실제에 기반하지 않은 허구의 소재다. 한편 폭행 사건으로 인해 쳇 베이커가 트럼펫 연주자로서는 거의 최악의 상황이라 할 수 있는 안면, 그것도 구강에 상처를 입었다는 점, 그리고 그 이후 뮤지션으로서 다시 일어서는 데 성공했다는 점은 실제 역사적 사실이다. 영화는 이처럼 무척이나 극적인 쳇 베이커의 인생에 몇 가지 설정을 더해 ‘바닥으로 추락했던 한 뮤지션이 고난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이야기’를 완성한다.

 

여전히 청년 시절의 예민한 구석을 간직하고 있는 에단 호크의 섬세하고도 능청스러운 연기가 단연 눈을 사로잡는 영화의 핵심적인 요소다. 불안하게 흔들리는 눈빛, 오직 자존심으로만 무장한 어린애 같은 표정, 피 흘리는 입술, 목탄으로 굵게 그린 것 같은 주름과 떨리는 목소리는 인물의 매력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해낸다. 황량하면서도 어딘지 따뜻한 풍광들 역시 인물의 내면과 적절히 조응하며 영화의 정서를 풍성하게 만든다. 배경에서 시종 흐르는 재즈 음악도 놓칠 수 없는 영화 감상의 중요한 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투 비 블루>는 처음 공개됐을 당시 몇몇 아쉬운 평을 들었다. 그건 아마도 앞서 정리했던 것처럼 그의 실제 삶에 허구를 넣어 하나의 서사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아쉬움일 것이다. 굴곡진 인생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랑하는 여인의 존재, 주변과의 갈등 등 다소 관습적이라고 할 수 있는 소재를 역시 평범한 수준에서 운용하고 말았다는 것이 주요 이유일 테다. 실제로 영화를 보면 갈등의 밀도가 그다지 촘촘하지 못하고, 해결 과정의 긴장감도 다소 떨어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출처 : 다음 영화
 

이를테면 실제로도 쳇 베이커의 삶에서 가장 커다란 문제였던 헤로인이라는 마약과 관련된 일화들이 있다. 20세기의 걸출한 음악가들이 그랬듯, 그 역시 마약과 현실의 삶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을 겪었고, 문제가 심각해졌을 때는 마약과 현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기도 했다. 그를 비롯한 많은 음악가가 음악을 계속하기 위해 마약을 택하기도 했다는 건 그런 점에서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하간 <본 투 비 블루> 역시 헤로인으로 인한 선택의 갈림길을 극 중에서 여러 차례 배치해둔다. 여기서 다시 약에 손대면 이제 사랑도, 사회인으로서 당당히 살아갈 기회도 끝이라는 주변의 냉정한 충고들이 차례로 등장한다. 상황만 보면 절체절명의 순간인데도, 어쩐지 해결 과정은 맥이 빠진다. 관련 책임자들이 돌연 마음을 돌려 기회를 한 번 더 만들어주고, 큰 문제 없이 무사히 상황은 종결된다. 쳇 베이커가 아버지와 겪는 갈등 역시 비슷하다. 약쟁이 아들이 못마땅한 아버지와 그런 아버지를 실패자라고 부르는 아들의 갈등은 말다툼 이상으로 훨씬 크게 폭발할 여지가 있지만, 그 정념은 황량한 벌판 위로 그저 흩어지고 말 뿐이다.

 

정리하자면 <본 투 비 블루>는 허구적 설정을 집어넣으며 드라마틱한 전개를 만들었으나, 그 드라마의 밀도를 조율하는 솜씨는 그저 평범한 영화인 셈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그게 단순한 실패처럼 느껴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이 영화에서는 한 인물의 삶을 깊고 무겁게 다뤄보려는 야심이나, 그 시도가 생각처럼 이뤄지지 않아서 생겨나는 조바심 같은 것보다, 가볍게 미소 지으며 쳇 베이커의 삶을 지켜보는 여유로움과 그의 모습을 바라보는 애잔함, 짓궂음 같은 정서가 더 많이 느껴진다.

 

어쩌면 그렇기 때문에 갈등을 좀 더 밋밋하게 조율한 게 아닐까 싶을 정도다. 그러니 이 영화의 설정과 전개가 상투적이라고 비판하는 말은 내용적인 측면에서만 유효할 것이다. <본 투 비 블루>는 오히려 실존 인물의 삶을 엄숙하고 무겁게 재현하는 것에 본능적으로 거리를 두는 작품이다. 그리고 그것이 영리한 계산의 결과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영화 감상을 더 흥미롭게 만든다.

 

사진 출처 : 다음 영화
 

영화 속에서 제작되고 있던 ‘쳇 베이커 전기 영화’는 폭행 사건으로 인해 일찌감치 막을 내리지만, 흑백으로 촬영된 해당 장면들은 영화 곳곳에서 출몰하며 쳇 베이커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다. 영광의 과거를 떠올리고 비루한 현재를 감당하는, 주변의 평가에 따르면 ‘게으른 천재’였던 쳇 베이커의 불안한 내면을 표현하는데 적절한 연출이다.

 

그런데 영화의 초반부 이 ‘쳇 베이커 전기 영화’를 촬영하는 장면에서 재밌는 대사 하나가 스쳐 지나간다. 영화 속 영화가 재현하는 건 22살, 헤로인을 처음 접하는 쳇 베이커다. 그러나 그걸 연기하고 있는 쳇 베이커는 그때보다 훨씬 나이 들고 더 많은 경험을 한 중년의 남자다. 애드리브를 지적당한 그는 “어차피 다 가짜인데.” 하며 중얼댄다.

 

기실 아무리 정교한 전기 영화라고 해도 가짜는 가짜다. 재현이 실제에 가까워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더 열심히 팩트를 찾아 헤매야 할까? 더욱 실감 나는 분장과 연기에 기대야 할까? 물론 그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더없이 위대한 전기 영화들이 존재하는 건 사실이지만, 한 편의 영화가 실제에 부딪히며 해봄 직한 시도가 단지 정밀한 묘사 그뿐인 건 아닐 것이다.

 

<본 투 비 블루>가 그 길을 아예 외면한 건 아니다. 이 영화는 당대의 공기를 재현하려고 애썼고, 쳇 베이커의 굴곡진 인생을 서사화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배우인 에단 호크는 그의 외면과 내면을 닮기 위해 훈련을 거듭했다. 하지만 그사이를 비집고 튀어나오는 어떤 자의식, 주인공을 나른하게 구경하고, 연민하며, 가엾게 여기고 때로는 장난스럽게 바라보는 영화의 태도가, 재미있게도 ‘전기영화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묵직하게 던진다.

손시내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인터뷰 이슈 산별 칼럼

토크쇼

포토뉴스

인터뷰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